직무소개

HOME chevron_right

직무소개

chevron_right

연구개발직군

연구개발직군이란 신제품을 개발하고 기존 제품 개선을 위한
기술정보를 수집하여 회사의 기술경쟁력 확보에 기여하는 직군

#이차전지 #연구원의길 #슈퍼커패시터 #수소연료전지

S/C (슈퍼커패시터)

역할 및 목적

  • ESS의 고객요구 성능을 검토하고, 이에 맞는 셀을 설계하고 개발합니다. 복합적인 전지소재의 특성과 제품 생산 공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성눙/품질/원가를 고려한 최적의 설계를 도출하고, 평가/분석 및 개선업무를 수행하며 사업의 수익창출과 지속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.

선행개발팀

  1. 1. 차세대 슈퍼커패시터 소재연구 (고출력,고용량)
  2. 2. 신소재 합성 및 특성분석, 평가, 고성능 전해질 개발
  3. 3. 셀 구조설계 및 최적화, 셀 제조 공정기술 개발 및 개선
  4. 4. 시제품 제작 및 성능평가 (수명, 안정성, 신뢰성 시험 등)

제품개발팀

  1. 1. 원통형/파우치형 신규Cell 제품개발
  2. 2. 고객요구사항 분석 및 Spec.정의
  3. 3. Cell설계 최적화 (소재선정 및 설계, BOM 산출 및 Cost 분석)
  4. 4. 고객샘플대응 및 양산성 검증
  5. 5. 불량분석 및 성능개선

P/S (파워솔루션)

역할 및 목적

  • 고객요구사항에 맞춰 배터리 모듈/팩을 설계하고 디자인합니다. 전장부품을 설계하고, 기구, 플랫폼의 공정과 공법을 개발하며,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하여 고객의 신뢰에 부응하고 사용자의 안전과 편의에 기여하고 있습니다.

기구설계팀

  1. 1. 모듈/팩 기계구조 설계 및 검증
  2. 2. 필요한 기구 및 전장부품의 공정, 공법 개발
  3. 3. 모델링, 시뮬레이션을 통한 구조해석

H/W팀

  1. 1. 배터리 모듈/팩의 보호회로 설계, 제어 및 검증
  2. 2. 하이브리드 컨버터 회로설계 및 PCB 아트웍 제작
  3. 3. PCB 및 제품 불량원인 분석 및 개선

F/W팀

  1. 1. 시스템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알고리즘 개발 및 구현
  2. 2. 표준 CMU 하드웨어 회로 개발
  3. 3. ESS 펌웨어 성능 및 기능향상을 위한 검증

인증/평가팀

  1. 1. 충방전 성능 및 수명 평가/검증 및 분석
  2. 2. 안전 매커니즘 설계
  3. 3. 모듈/팩 양산대응 및 품질향상을 위한 환경구축

F/C (수소연료전지)

역할 및 목적

  • 수소연료전지 차세대 신기술을 개발합니다. 특히 지지체,MEA,분리판 등 연료전지의 핵심부품에 대한 선행기술 개발과 함께 수소연료전지의 글로벌 리더 1위를 위한 도약을 위해 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

지지체개발팀

  1. 1. 연료전지용 카본블랙 지지체 소재 연구 및 개발
  2. 2. 지지체 성능향상(내구성, 전기 전도도, 촉매 담지 등) 연구
  3. 3. 신규 카본소재 발굴 및 지지체 적용 연구
  4. 4. 연료전지용 촉매 연구개발

MEA개발팀

  1. 1. MEA 구성 소재 (전해질 막, 촉매, GDL 등) 연구 및 분석
  2. 2. MEA샘플제작 및 조립 (촉매코팅, 막접합 등)
  3. 3. 샘플 성능 및 내구성 평가 통한 고성능 MEA개발
  4. 4. 평가 장비구축 및 운영,보전

분리판개발팀

  1. 1. 수소연료전지용 분리판 소재 연구 및 개발
  2. 2. 분리판 성능향상(내구성,전도성,경량화 등) 연구
  3. 3. 분리판 설계 및 시제품 제작
  4. 4. 분리판 양산을 위한 생산설비 도입 및 설계
arrow_upward_alt

TOP